해외주식 밸류에이션, 시킹알파(SeekingAlpha)로 PER 비교하며 고평가·저평가 판단하는 법
이전 포스팅에서 finviz로 해외(미국)주식의 나만의 종목을 검색했습니다
finviz로 어느 정도 종목이 검색되었다면 주식에 투자할 때 지금이 '저평가' 상태인지 '고평가' 상태인지 판단하는 능력은 수익률을 결정짓는 중요한 기준입니다. 이때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지표가 바로 PER(Price to Earnings Ratio), 즉 주가수익비율입니다. 본 글에서는 PER과 밸류에이션 개념을 설명한 뒤, 시킹알파(SeekingAlpha)라는 도구를 이용해 효율적으로 밸류에이션을 분석하고 경쟁사와 비교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.
목차
- 밸류에이션과 PER이란 무엇인가?
- 시킹알파(SeekingAlpha)에서 밸류에이션 확인하는 방법
- 고평가·저평가 종목을 비교 분석하는 방법
- 배당주 투자 시 시킹알파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정보
1. 밸류에이션과 PER이란 무엇인가?
1-1. 밸류에이션이 중요한 이유
밸류에이션은 기업의 ‘가치’를 숫자로 표현한 것입니다. 투자자가 기업의 내재가치를 평가하여 현재 주가가 싸거나 비싼지를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. 특히 해외 주식은 정보의 비대칭이 크기 때문에, 객관적인 지표에 기반한 밸류에이션 분석이 필수입니다.
※ 밸류에이션의 개념
- 한마디로 "이 회사의 주식이 제 값인가?"를 따지는 거예요.
- 우리가 마트에서 사과를 살 때도 그냥 안 사잖아요?
- 그럼 우리는 생각하게 됩니다. 👉 "이거 너무 비싼 거 아냐? or 어? 사과가 이렇게 쌌나?"
💡 주식도 마찬가지예요. 회사를 하나의 '상품'이라고 보고, 그 상품의 가치를 따져보는 게 바로 밸류에이션 입니다.
1-2. PER의 개념과 계산법
PER (주가수익비율)은 투자자가 해당 주식을 살 때 1주당 얼마의 수익을 기대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.
아래 포스팅에 기본적인 용어 설명이 있는 포스팅을 참고 하시면 도움이 되실 거예요.
PER 계산 공식:
PER = 주가 ÷ 주당순이익(EPS)
일반적으로 PER이 낮을수록 '저평가', PER이 높을수록 '고평가'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 이는 업종과 성장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, 동종 업계와의 비교가 중요합니다.
※ 예시로 이해해보자
- A 사과 가게는 1년에 100만 원을 벌어요.
- 이 가게를 1,000만 원에 판다고 해요.
- 그럼 우리는 생각하게 되죠. 👉 “1년에 100만 원 버는 가게를 1,000만 원 주고 사는 게 괜찮은 걸까?”
💡바로 이럴 때 등장하는 개념이 PER입니다.
이 경우, PER은 이렇게 계산됩니다:
PER = 1,000만 원 ÷ 100만 원 = 10배
즉, 이 가게를 사면 이익으로 원금을 회수하는 데 약 10년이 걸린다는 뜻이에요.
PER이 5 이하면 일반적으로 저평가로 볼 수 있고,
20 이상이면 비싸 보일 수도 있지만,
빠르게 성장하는 기업이라면 높은 PER도 정당화될 수 있습니다.
관련된 추가적인 설명은 아래 포스팅에 기본적인 기초 용어 설명이 있으니 참고해 보세요.
※ Trailing PER vs Forward PER
- Trailing PER: 지난 12개월 실적을 기반으로 계산한 PER
- Forward PER: 향후 12개월 예상 수익을 기준으로 계산한 PER
Forward PER이 더 낮다면, 향후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.
2. 시킹알파(SeekingAlpha)에서 밸류에이션 확인하는 방법
2-1. 사이트 접속 및 종목 검색
아래 사이트 바로가기로 사이트에 접속하시고 하나씩 같이해봐요.
먼저 SeekingAlpha.com에 접속한 후, 검색창에 분석하고자 하는 기업의 티커(Ticker)를 입력합니다.
예: 애플(AAPL), 엔비디아(NVDA) 등.
2-2. Valuation 탭 보는 법
검색한 기업 페이지에서 상단 메뉴 중 “Valuation” 탭을 클릭합니다. 여기서 확인할 수 있는 주요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:
구글(GOOG)을 예를 들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. 밸류에이션을 이해하려면 PER(주가수익비율)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PER 지표는 기업의 현재 주가가 실적 대비 고평가인지 저평가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핵심 지표입니다.
※ GOOG의 주요 PER 지표를 예시로 설명
▲ SeekingAlpha.com 화면 예시 – 출처: SeekingAlpha.com
지표 | 이미지 위치 | GOOG 수치 예시 | 설명 |
---|---|---|---|
Trailing PER (P/E Non-GAAP TTM) | 첫 번째 줄 | 18.48 | 최근 12개월 동안의 실제 수익 기준 PER |
Forward PER (P/E Non-GAAP FWD) | 두 번째 줄 | 17.36 | 향후 12개월 예상 수익 기준 PER |
GAAP Trailing PER (P/E GAAP TTM) | 세 번째 줄 | 18.31 | 공식 회계 기준(GAAP) 최근 실적 기반 PER |
GAAP Forward PER (P/E GAAP FWD) | 네 번째 줄 | 17.33 | 공식 회계 기준 향후 실적 기준 PER |
5년 평균 PER (GOOG 5Y Avg.) | 오른쪽 열 | 26.56 | 과거 5년 평균 PER (TTM 기준) |
섹터 평균 PER (Sector Median) | 가운데 열 | 11.95 | 기술/커뮤니케이션 섹터 전체 평균 PER |
추가 지표 해석
- Non-GAAP는 기업이 자체적으로 조정한 수익 기준이며, 일반적으로 운영 수익 중심입니다.
- GAAP는 공식 회계 기준(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s)으로, 규제기관 기준의 수익입니다.
- % Diff. to Sector는 동일 섹터의 평균 대비 몇 % 높은지 또는 낮은지를 보여줍니다.
- % Diff. to 5Y Avg.는 과거 5년 평균과 비교했을 때 현재 PER의 고저를 나타냅니다.
PER 분석으로 보는 GOOG의 현재 가치
- 현재 GOOG의 Trailing PER은 18.48 입니다.
- 섹터 평균인 11.95보다 약 54.66% 높습니다.
- 그러나 5년 평균 PER인 26.56보다는 낮아졌다는 점
상대적으로 저평가 구간에 진입 중일 수 있다는 해석도 가능합니다.
투자자라면 PER 지표를 단순히 숫자만 보는 것이 아니라, 섹터 평균과 역사적 평균을 비교하여 상대 가치를 분석하는 것이 필수입니다. 이 수치들을 통해 현재 주가가 과거 대비 얼마나 비싼지 혹은 싼지를 알 수 있습니다.
3. 고평가·저평가 종목을 비교 분석하는 방법
시킹알파에서는 경쟁사 PER과의 비교는 직접 해야 합니다. 동일한 방식으로 경쟁 기업도 검색하여 Valuation 탭을 확인한 후, 본 기업의 PER과 비교하면 됩니다.
※ 임의로 구글과 메타를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
3-1. 메타(Meta Platforms)의 PER 분석
▲ SeekingAlpha.com 화면 예시 – 출처: SeekingAlpha.com
1) 주요 지표 요약
Meta의 현재 주가는 $597.02로, 시킹알파 기준 다양한 PER 수치가 제공되고 있습니다. 특히 PER Non-GAAP(TTM)은 23.28로, 섹터 평균(12.03)에 비해 무려 93.53%나 높습니다. 이는 투자자들이 향후 성장 가능성을 매우 높게 평가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.
2) 시킹알파 PER 데이터 정리
- PER Non-GAAP (TTM): 23.28 / 섹터 평균 12.03 / 5Y 평균 25.86
- PER Non-GAAP (FWD): 23.44 / 5Y 평균과의 차이 -0.35%
- PER GAAP (TTM): 23.33 / 섹터 평균 대비 +17.56%
- PER GAAP (FWD): 18.32 / 섹터 평균 대비 +27.57%
메타의 경우, 과거 5년 평균보다는 소폭 낮은 PER을 보여주고 있어 적절한 수준의 재평가 구간으로 볼 수 있습니다.
※ 해당 내용은 주가를 비교 분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목적임으로 현재 종목의 투자를 유도하는 내용은 아닙니다.
3-2. 구글(Alphabet)의 PER 분석
▲ SeekingAlpha.com 화면 예시 – 출처: SeekingAlpha.com
1) 주요 지표 요약
Alphabet의 현재 주가는 $165.81로, Meta와는 다른 시각에서 PER이 구성됩니다. 특히 PER Non-GAAP (TTM)은 18.48로, 섹터 평균 대비 +53.63%로 나타났습니다. 이는 Meta보다는 낮은 수준이지만, 여전히 섹터 내에서는 프리미엄이 반영된 수치입니다.
2) 시킹알파 PER 데이터 정리
- PER Non-GAAP (TTM): 18.48 / 섹터 평균 12.03 / 5Y 평균 26.56
- PER Non-GAAP (FWD): 17.36 / 5Y 평균 대비 -31.33%
- PER GAAP (TTM): 18.31 / 섹터 평균보다 -7.76%
- PER GAAP (FWD): 17.33 / 섹터 평균보다 -5.18%
구글은 전반적으로 PER이 낮은 편이며, 과거 5년 평균 대비로도 할인되어 있는 상태입니다. 이는 저평가 구간일 가능성을 암시합니다.
※ 해당 내용은 주가를 비교 분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목적임으로 현재 종목의 투자를 유도하는 내용은 아닙니다.
3-3. PER 비교 및 해석
1) Meta vs Google: Valuation 프리미엄
Meta는 전반적으로 섹터 대비 높은 프리미엄이 반영되어 있습니다. 이는 성장 기대와 시장 신뢰를 반영하는 지표입니다.
반면, Google은 PER이 낮고, 5년 평균보다 할인된 가격에 거래되고 있어 저평가된 우량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.
2) 투자자 선호 관점
성장 모멘텀을 중시한다면 Meta에, 안정성과 저평가 매력을 추구한다면 Google에 관심을 가질 수 있습니다.
※ 해당 내용은 주가를 비교 분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목적임으로 현재 종목의 투자를 유도하는 내용은 아닙니다.
4. 배당주 투자 시 시킹알파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정보
※임의로 SCHD를 예시로 설명 드리겠습니다.
▲ SeekingAlpha.com 화면 예시 – 출처: SeekingAlpha.com
4-1. 배당 수익률 (Dividend Yield, TTM)
- SCHD: 3.99% / ETF 중간값: 2.87% / 차이: +38.78%
- 이는 SCHD가 전체 ETF 평균 대비 높은 배당 수익률을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.
- 의미: 현 시점 기준 연간 배당 수익률이 거의 4%에 육박하며, 안정적인 인컴(Income)을 원하는 투자자에게 매우 매력적인 선택입니다.
4-2. 배당 성장률 (Dividend Growth Rate, TTM)
- SCHD: 16.69% / ETF 중간값: 7.74% / 차이: +115.51%
- 최근 12개월 동안의 배당 증가율로, SCHD의 배당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는 지표입니다.
- 의미: 배당 성장이 지속될 경우, 장기 투자자에게 복리 효과를 제공할 수 있어 매우 긍정적인 신호입니다.
4-3. 3년, 5년, 10년 배당 성장률 (CAGR 기준)
- 3년 평균(CAGR): 11.26%
- 5년 평균(CAGR): 11.44%
- 10년 평균(CAGR): 11.30%
의미: 과거 10년간 지속적으로 배당이 증가해 왔으며, 그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은 매우 긍정적인 요소입니다.
※ 해당 내용은 배당 성장률, 수익률을 비교 분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목적임으로 현재 종목의 투자를 유도하는 내용은 아닙니다.
마치며
PER과 밸류에이션은 해외주식 투자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이지만 강력한 도구입니다. 시킹알파는 이 정보를 시각적으로 정리해 주어 초보 투자자에게도 매우 유용하며, 배상 수익률과 성장률을 한눈에 확인하여 배당 주식을 분석하고 확인하는 것 또한 매우 유용합니다.
본 글을 바탕으로 여러분의 투자 종목이 저평가 상태인지, 경쟁사 대비 매력적인지를 분석해 보시기 바랍니다.
※ 본 게시물은 투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된 글이며, 특정 금융상품의 매수 또는 매도를 권유하는 것이 아닙니다. 투자에 따른 손실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임을 명확히 안내드립니다. 반드시 개인의 판단과 충분한 사전 조사 후 투자 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.
'자기계발 > 경제, 투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Finviz로 나만의 미국 주식 종목 찾기: 스크리너(Screener) 100% 활용법 (76) | 2025.05.03 |
---|---|
해외 주식 투자, 미국 주식으로 시작하는 초보자를 위한 완벽 가이드 (29) | 2025.05.02 |
경제 흐름을 읽는 법: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완벽 가이드 (28) | 2025.04.27 |
기준금리 인상·인하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진짜 영향은? (48) | 2025.04.22 |
달러박스 100% 활용법: 수수료 없는 환테크 전략 (15) | 2025.04.20 |